본문 바로가기
시설 회계

홈택스에서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 작성하기

by 아날로그 일개미 2023. 6. 2.
반응형

 
 


 
 
 
조리사님의 병가로 인하여 조리사님을 이틀 고용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회계 전문가도 아니고, 정기적으로 했던 일이 아니다 보니 맞는지 모르겠지만 검색을 통해 제가 해 본 것을 포스팅해 봅니다.

 

일용근로 고용시 아래의 내용을 처리해야 합니다.

-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에서 회계처리

- 홈택스에서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 일용근로소득지급명세서

- 고용산재 토탈서비스에서 근로내용확인신고

 

 

 

아주 간단하게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에서의 처리와 홈택스 원천세 신고 방법을 보고 가겠습니다.


1.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회계에서 관) 사무비 항) 인건비 목) 일용잡급 세목) 일용잡급 계정과목을 잡았습니다.

 

2. 홈택스 원천세 신고 

 

 

홈택스의 원천세 신고 후 출력한 서류에서 일부 캡쳐하였습니다.

이번 달에는 퇴사자가 있어서 중도퇴사자 칸인 A02도 입력을 하였고요. 일용근로는 그 아래 A03 칸에 입력을 합니다. 한 분이 이틀 근로를 제공하였습니다. 207,780원은 이틀 치입니다. 하루에 15만 원 이하이기 때문에 세금은 없었습니다. 빈칸으로 처리합니다.

 

 

 

 

반응형

 

 




이제 본격적으로 홈택스에서 하는 일용근로소득지급명세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홈택스 메인

 

 

홈택스 상단의 '신청/제출'에 마우스오버를 하여, 오른쪽 하단 '복지이음'메뉴 아래에 '일용근로소득지급명세서' 메뉴를 클릭합니다. 
 

 

 

 

 

 

 

 

왼쪽의 '일용근로소득 지급명세서'를 클릭한 후 오른쪽 '직접작성제출방식(정기제출)'을 클릭합니다.

 

 

 

 


 
 

귀속년도는 자동으로 들어가고, 지급월을 선택합니다. 

 

5월에 작성하려 하였으나, 못하게 경고창이 뜹니다. 다음 달에 가능합니다. 즉, 일용근로자의 근무가 5월이었다면, 6월에 작성할 수 있습니다. 

 

 


 
 

 

상단의 '소득자 인적사항'을 모두 작성합니다. '지급월, 근무월'은 5월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근무일수는 이틀이었기에 2로 작성합니다. '과세소득'은 207,760원으로 이틀 치를 입력합니다. '비과세소득'은 식대 등의 비과세로 지급해 준 것을 입력한다고 합니다. 해당이 없으니 빈칸으로 둡니다.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는 일 15만 원 이하이기에 0으로 잡았습니다. 

 

이렇게 작성 후 [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그 아래 줄에 작성한 내용이 위 이미지처럼 뜹니다. 하단의 [소득자료 작성완료]를 클릭하여 다음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다음화면의 출력하기를 클릭하면 위의 자료가 나옵니다. 프린트하여 보관합니다. 
 
 
 

 
 
 '제출내역'에서 다시 내용 확인 후 마칩니다. 마지막 자료가 최종제출된다고 합니다. 수정이 있을 경우 다시 처음부터 입력하여 작성한 후 제출하시면 됩니다. 
 
 
 

 

홈택스 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제출기한 및 가산세에 대해 내용입니다. 참고하시고, 변경이 있을 수 있으니 잘 확인하신 후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고용산재토털서비스에서 일용근로자에 대해 '근로내용확인신고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용산재보험 토털서비스에서 일용직 근로내용확인신고하기

지난 포스팅에 이어 5월에 일용직으로 근무하신 근로자(조리 이틀 근무)에 대한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에서의 근로내용확인신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에서 아래

my-social-work.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