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시설 회계7

상반기 간이지급명세서(근로소득) 제출하기 매년 7월 31일까지는 근로소득에 대한 간이지급명세서를 홈택스에 입력해야 합니다. 직원수에 따라 입력시간이 걸릴 뿐 간단한 작업입니다. 사회복지정보시스템에서 상단의 '세무' 메뉴를 클릭하면 왼쪽에 '원천세 신고'메뉴 밑으로 '근로소득간이지급명세서' 메뉴가 있습니다. 클릭한 후 귀속년도와 상반기가 잘 체크되어 있는지 확인 후 [조회]를 클릭합니다. 하단으로 직원들 정보가 뜹니다. 이 화면 그대로 국세청에 전송되었으면 좋겠으나 그렇지 않습니다. 출력해서 홈택스에 들어가 수동으로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제출일자'와 '발행구분'은 아무 것이나 선택 후 [출력]을 클릭합니다. 개인정보식별표기 창이 뜨면 [예]를 누릅니다. 개개인별로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주민등록번호가 출력되어야 합니다. 홈택스에 시.. 2023. 7. 18.
관리운영비 지원 대상. 인권지킴이단 수당 등 비용 지출 그동안 인권지킴이단 수당을 지출하지 않았습니다. 이번에 단원이 바뀌었는데, 거주지역에 시설과 멀어서 전체적으로 수당을 지급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러면 계정과목은 관) 사무비 항) 업무추진비 목) 회의비가 될 것인데 원천은 어디서 하느냐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문득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제3권'에서 관리운영비 지원 대상 중 인권지킴이단 운영비를 본 기억이 나서 2023년도 장애인복지시설 사업안내 책자를 검색하였습니다. 197페이지의 하단 아항을 보면 '인권지킴이단 운영비' 항목에 '인권지킴이단 운영(수당 등)에 소요되는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후원금도 운영비에 준해서 지출하게 되어있지만, 후원금으로 회의비를 지출하지 못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처음 지출하는 .. 2023. 5. 25.
홈택스에서 기타소득 강사비 세금 누락시 수정신고, 가산세 계산 5월이 되었습니다. 어렵지는 않지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작년도 서류들의 편철입니다. 2023년에도 편철은 합니다. AI가 도입되어 가는 이런 시기에도 서류를 편철합니다. 복지 쪽은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이동한 듯한 그런 시간을 살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4월까지 미뤄지지는 않았는데, 작년의 희망이음 시스템으로 제 업무가 상당히 밀려있었고 뭐 시설은 김장이다 행사다 지원해야 하는 시간이 많습니다라는 변명을 해봅니다. 미루고 미루다가 드디어 완결을 하고 올해 서류를 정리하는 중에 3월에 기타 소득으로 강사의 세금을 납부하지 않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전 같으면 심장이 쿵쾅거렸을 것입니다. 이제 나이가 들어서인지 재난 상황이 아닌 이상에야 시간이 드는 것이 문제이지, 왠간한 일은 어떻게든 해결이 됩.. 2023. 5. 5.
보조금 예금이자 처리 보조금 예금이자 처리에 대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유입 키워드가 '보조금 예금이자'여서 이에 따라 오늘의 포스팅을 작성합니다. 1. 보조금 예금이자는 어디에 둘까요? 보조금 통장에서 예금이자 발생 시에는 잡수입 통장 등으로 이동하지 않고 각 보조금 통장에 그대로 두어야 합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생계비 통장에서 예금이자가 발생하면 그대로 생계비 통장에 두는 것이지요. 1년에 2번 정도의 이자가 발생하는데, 이대로 두었다가 차년도에 정산하면서 반납을 하게 됩니다. 2. 세입계정별 잔고현황 사회복지정보시스템의 세입계정별 잔고현황을 보시면 국고보조금, 시도보조금, 시군구보조금 비율에 맞추어 보조금 수입을 잡았고, 일부 사용한 내역이 보입니다. 위의 세 가지로 나누어 수입을 잡는 이유는 가끔 생계비 보조금 비율대.. 2023.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