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이 되었습니다. 어렵지는 않지만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작년도 서류들의 편철입니다. 2023년에도 편철은 합니다. AI가 도입되어 가는 이런 시기에도 서류를 편철합니다. 복지 쪽은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이동한 듯한 그런 시간을 살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4월까지 미뤄지지는 않았는데, 작년의 희망이음 시스템으로 제 업무가 상당히 밀려있었고 뭐 시설은 김장이다 행사다 지원해야 하는 시간이 많습니다라는 변명을 해봅니다. 미루고 미루다가 드디어 완결을 하고 올해 서류를 정리하는 중에 3월에 기타 소득으로 강사의 세금을 납부하지 않은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전 같으면 심장이 쿵쾅거렸을 것입니다. 이제 나이가 들어서인지 재난 상황이 아닌 이상에야 시간이 드는 것이 문제이지, 왠간한 일은 어떻게든 해결이 됩니다.
그리고 가산세가 나오겠지요. 3월 것이니 4월 10일까지 마감이고 한 달도 안되는 기간이라 얼마 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기에 부담이 없었지만, 계산법은 복잡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단, 천천히 홈택스를 이것저것 눌러보았습니다.
먼저 원천세 신고화면의 [수정신고]를 클릭하여, 기존의 원천세 신고시의 '기타 소득' 칸에 강사비와 세금을 수정하였습니다. 그리고 평소대로 '납부'화면으로 이동하였으나, [자진납부]로 이동하라는 메시지가 뜹니다.
상단 메뉴 중 [신고/납부]를 클릭하면 위 화면이 나옵니다. 왼쪽 아래 [국세납부]에 마우스오버를 하면 나오는 메뉴 중에 [자진납부]를 클릭합니다.
'납부 구분'은 '원천분자납'으로 선택합니다. 옆의 파란 돋보기를 클릭하면 기타소득은 '원천분자납'이라고 설명이 잘 되어 있습니다. '세목'은 '기타소득세'를 선택합니다.
강사비가 400,000원이었고 기타 소득이기에 8.8% 세금을 공제해 두었습니다. 원래 기타소득 소득세는 32,000원입니다. 하지만, 가산세를 포함하여 작성해야 합니다. 가산세는 1,120원이기에 33,120원을 작성하면 됩니다. 납부기한은 3월 귀속분이었기에 4/10로 선택합니다. 화면은 이것저것 클릭해보는 상황이라 모두 수정 전으로 캡처했네요.
오른쪽 하단에 [납부지연가산세 계산해보기]를 클릭하여 가산세를 알아보겠습니다.
미납세액은 32,000원, 당초납부기한은 4/10, 납부예정일자는 납부당일은 5/3로 선택하고 [계산하기]를 클릭합니다. 하단에 자동으로 가산세가 나옵니다. 가장 아래의 1,120원입니다. 하단의 [기타소득세 합산 적용]을 클릭합니다.
팝업이 뜨며 강사소득세와 가산세를 포함하여 총금액이 뜹니다. [확인]을 클릭하면, 이전 화면에 자동으로 33,120원이라는 금액이 들어갑니다. 그리고 그 화면에서 [납부하기]를 클릭하고 원천세 납부하듯 계좌이체로 바로 납부하면 완료된 것입니다.
참! 가산세, 교통위반 범칙금 등은 담당자 개인 돈으로 해야 하는 것은 알고 계실 것입니다. 세금과 함께 납부할 통장으로 이체하고 한 번에 계좌이체를 하였습니다.
'납부내역 조회'화면에 들어가서 한 번 더 납부완료를 확인합니다.
다음 포스팅은 위택스에서 누락 기타소득 납부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위택스에서 강사비 세금 누락시 수정신고, 가산세 계산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3월에 누락한 기타소득이었던 강사비 세금과 가산세를 5월 초에 냈던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위택스에서 지방소득세를 냈던 그 메뉴로 들어갑니다. '특별징수'
my-social-work.tistory.com
'시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운영비 지원 대상. 인권지킴이단 수당 등 비용 지출 (0) | 2023.05.25 |
---|---|
위택스에서 강사비 세금 누락시 수정신고, 가산세 계산 (0) | 2023.05.08 |
홈택스에서 전자기부금영수증 개별발급 방법 (0) | 2023.04.27 |
고용산재 미가입자 취득신고 안내장 처리방법. 성직자 고용산재 보험 (0) | 2023.03.21 |
퇴직연금 규약변경 - 디폴트 옵션 (0) | 2023.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