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설 회계

희망이음에서 세입세출결산 하기

by 아날로그 일개미 2023. 3. 16.
반응형

 

 

 


현재 시설의 경우, 2021년에 대한 세입세출결산시 첨부서류가 6종, 그중 후원금품 관련 서식을 작성하는 것이 조금 손이 가지만 이 업무는 간단한 업무입니다. 3월 31일까지 보고를 해야 하는데, 관할 시청에서 보낸 공문으로는 시한이 조금 빠르네요.

올해 처음 희망이음에서 세입세출결산을 하는 것으로 메뉴가 바뀌었고 혹시 모를 실수를 대비해 공지사항에 올라온 유튜브 강의를 들었습니다.

 

 

 

반응형

 

 

 

강의 내용을 요약하면, 


1. 사회복지정보시스템의 기존 세입세출결산 메뉴의 총괄표와 희망이음의 세입세출결산의 총괄표가 동일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사시정에서 생성한 것은 저장이나 삭제버튼이 없습니다. 신경 쓰지 말라고 하네요.

2. 후원금, 후원품에 관하여 2022년 8월까지 사회복지정보시스템을 이용했기 때문에 후원금 수입내역서, 후원품 수입내역서, 후원품 사용내역서는 희망이음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사회복지정보시스템에서는 후원금 사용내역서만 확인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전표마감의 재집계 화면

 

3. 회계관련하여  사회복지정보시스템에서 '결의및전표관리'메뉴의 '전표마감' 메뉴에서 오른쪽 상단의 [재집계] 버튼을 눌러, '전표합계', '시산표합계', '총계정원장합계' 이 3가지가 모두 맞는지 확인합니다. 만약 맞지 않을 경우 오른쪽의 [강제 집계] 버튼을 누르면 모두 맞춰진다고 합니다. 

저의 경우 후원금 쪽에서 세입결산서와 수입결의서가 맞지 않아 한 번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위의 화면은 2023년으로 샘플화면을 캡쳐했지만, 2022년으로 설정해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4. 사업코드는 2022년에만 사용한 사업이 있다면, 현재 '미사용'으로 되어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희망이음으로 넘어오지 않는다고 하니, 총괄표 생성 전에 '사용'으로 해 놓아야 하며 반영은 30분 정도 소요된다고 합니다.

 

 

5. 희망이음에서 생성 전에 반드시 해야할 일은, 브라우저 캐시를 삭제를 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숫자들이 2배로 뜨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희망이음의 공지사항 5607번의 '[안내] (결산보고 업무시 필수 확인) 기능개선 반영을 위한 브라우저 캐시 삭제 안내' 공지를 보시고 그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 

 

당연히 맞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운영위원회 자료를 제출한 것을 생각하면 식은 땀이 납니다. 2배라니 아직도 시스템은 불안하네요.

 

6. 후원자가 '비영리법인'일 경우 '종교법인, 학교법인, 사회복지법인 등'의 종류를 선택해야 오류가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희망이음은 간단한 메뉴도 반드시 확인을 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