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설 회계

세금계산서, 계산서 합계표 제출

by 아날로그 일개미 2024. 1. 18.
반응형

 

 

 

 

 

 

 

1월 25일까지 홈택스에 세금계산서와 계산서 합계표를 제출해야 합니다. 홈택스 메뉴가 바뀌면서 약간 헷갈렸습니다. 같은 카테고리가 아니더라고요. 

 

 

 

 

 

먼저 세금계산서 합계표 제출메뉴입니다.

 

 

 

 

 

상단의 [지급명세서 자료제출, 공익법인]을 클릭하면 왼쪽에 [과세자료 제출]이 뜹니다. 오른쪽에 '부가가치세 관련 자료 제출 +'를 클릭하면 '세금계산서합계표 제출/내역조회'가 뜹니다.

 

 

 

 

 

 

 

'직접작성 제출방식'을 클릭합니다.

 

 

 

 

 

반응형

 

 

 

 

 

 

왼쪽 메뉴를 보면 '매입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가 보입니다. 그것만 작성하면 됩니다. 바로 아래에 '매출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는 그냥 넘어가면 됩니다.  

 

 

 

 

 

 

 

 

화면 중앙 오른쪽 노란색으로 표시한 [전자세금계산서 자료 조회]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이 팝업이 뜹니다. '매입처 수, 매수, 공급가액, 세액'이 다 뜹니다. 그대로 입력만 해주면 됩니다.

 

 

 

 

 

서울의 경우 '전자'세금계산서와 '전자'계산서만 받는다고 들었습니다. 지방은 아직 이야기가 없습니다. 생계비 쪽에서 종이 문서가 들어옵니다. 지출결의를 할 때마다 확인하고 엑셀파일에 정리를 하고 있습니다. 작년 하반기에는 두 곳이 있었습니다. 내용을 입력 후 [입력내용 추가]로 하단으로 리스팅 해줍니다.

 

그리고 [저장 후 다음이동]을 클릭합니다.

 

다음 화면의 '매출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 화면에서 바로 하단에 [저장 후 다음이동]을 클릭합니다. 그다음 화면에서 접수하면 세금계산서 합계표는 완료가 됩니다.

 

 

 

 

 

이번에는 세금계산서 합계표입니다.

 

 

 

 

 

상단의 [지급명세서 자료제출, 공익법인]을 클릭하면 왼쪽에 [과세자료 제출]이 뜹니다. 오른쪽에 '소득법인세 관련 자료 제출 +'을 클릭합니다. 다섯 번째에 '계산서 합계표 제출/내역조회'가 있습니다. 클릭합니다.

 

 

 

 

 

 

'매출처별 계산서 합계표' 화면에서 바로 스크롤을 내려 [저장 후 다음이동]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나오는 것이 '매입처별 계산서 합계표'인 위 화면입니다. 

 

 

 

 

 

 

 

 

노란색으로 표시한 [전자계산서 자료조회]를 클릭하면, 위에 [세금계산서 자료조회]처럼 팝업 화면이 뜹니다. 그대로 입력해 주면 됩니다. 

 

 

 

 

 

 

 

종이계산서가 있다면 노란색 표시한 대로 따라 입력하고 [입력내용 추가]로 하단으로 리스팅 해줍니다.

 

하단에 파란색으로 [저장 후 다음이동] 메뉴를 클릭하고 접수하면 끝입니다. 합계표는 쉽지만, 깜박하면 기한을 놓치므로 바로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