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설 회계

후원자가 직접 클라이언트에게 후원금 이체하고 기부금 영수증 원할 때

by 아날로그 일개미 2023. 2. 28.
반응형

 
 
 
 
 

후원자가 직접 클라이언트에게 후원금 이체하고 기부금 영수증 원할 때. 결연후원과 지정후원

 
몇 년 전에 법인 내 기관과 다른 지자체에서 근무하시는 분이 동일한 월에 문의를 주셨던 것이 생각나서 포스팅해 봅니다. 아마 지금은 이렇게 하시는 곳은 없을 것입니다.
 
 

1. 결연후원에 대한 질문

 
질문은 이렇습니다.
1, 한 분은 "후원자가 OOO님(클라이언트) 계좌에 이체하고 기부금영수증 달라고 해서 해주었는데, 기부금영수증 발급명세서의 합계가 후원금 세입보다 많아서 문제가 되었어요"
2. 한 분도 비슷합니다. "후원자가 OOO님(클라이언트) 계좌에 직접 이체하고 기부금영수증 달라는데 맞는거야?"
 
답변은 "안 됩니다."입니다. 모든 세입과 세출은 등록이 되어야 합니다. 세입보다 후원금이 많아질 수가 없는 것이지요. 
 
 
 

2. 결연후원 방식

 
클라이언트에게 직접 후원금을 주고 싶고 기부금영수증도 필요하다면, 결연후원금 형태로 해결해야 합니다. 시설의 지정후원금 통장 또는 결연후원금 통장이라는 이름의 지정후원금으로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지정기탁서(결연후원신청서)를 받아야 합니다. 개인정보활용동의서를 추가 첨부하여 작성하여 희망이음, 국세청에 개인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합니다.
 
지정기탁서 후원목적에 대한 사항에 세목에 해당될 정도로 구체적으로 적어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OOO님 계좌로 후원금을 직접 이체'와 '간병인비 등 의료비'라던가 '새 학기 피복구입' 등으로 아주 구체적으로 후원자분들이 쓰시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기부금품의 모집 및 사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지 제2호 서식]

 

시행령에 있는 지정기탁서  양식으로 이것을 변형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3. 결연후원금 지급방식

 
이렇게 해서 시설 지정후원금 통장으로 후원금이 들어옵니다. 그러면 입금된 월 이내에 지출결의서에 지정기탁서 사본을 첨부하여 해당 클라이언트 계좌로 이체합니다. 
 
혹은 직접 이체를 원하지 않고 '새 학기 피복구입'을 원하셨을 경우, 시설에서 해당 클라이언트 옷과 신발 등을 구입 후 사진을 찍고 영수증 등의 지출증빙을 하여 서류를 보관하면 됩니다. 
 
 

 

반응형

 

 


 

4. 지정후원금

 
연내에 모금 캠페인을 할 경우 지정후원금 통장으로 입금받습니다. 지정기탁서 첨부해야 합니다. 가끔 캠페인 내용을 알고 본인의 종교단체에 계좌를 카톡으로 날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지정기탁서를 다 첨부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이름만 들어오니 연락처를 알 수가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이 홈페이지 등에 공지한 캠페인 내용을 첨부합니다. 그리고 캠페인 기간 동안 입금된 후원금은 캠페인 목적사업에 그대로 모두 지출 후 0원으로 만듭니다. 
 
 
 

5. 에피소드

 
보통 지정후원금을 입금하시는 분들은 거의 비지정후원을 하시는 후원자분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후원하신 지 오래되셔서 연령대도 높으시지요. 캠페인이 다 끝났는데, 직전에 입금한 계좌로 입금하시는 분들이 가끔 있습니다. 0원이어야 할 지정후원금 통장으로 들어온 것이지요. 
 
이것은 반드시 지정기탁서를 받아야 합니다. 비지정통장으로 옮길 수가 없습니다. 다행히 모두 연락처가 있는 분들이었습니다. 때마침 압력밥솥이 고장 나서 구입을 해야 할 상황이었습니다. 전화를 드려 '보내주신 후원금은 압력밥솥을 사도 될까요?'라고 여쭈어보았습니다. 당연히 깜짝 놀라십니다. 보이스피싱으로 생각하셔서 전화를 끊으십니다. 다시 전화드리니 '밥통 사는 걸 왜 나한테 물어보냐'며 '물어보지 말고 사고 싶은 것을 사라'라고 황당해하십니다. 
 
후원금 통장 용도에 따라 지출이 되어야 하기에 후속 고충이 있습니다. 지정후원금과 비지정후원금이라는 것은 사실 직원 대부분도 잘 모르고, 후원을 할 직원들에게도 지정기탁서를 달라고 여러 번 요청해야 합니다.  윗 분들은 계좌를 뿌리시지만, 저는 지정기탁서 전화를 돌려야 합니다. 유선상 개인정보를 요구하기에, 보이스피싱으로 오해하시거나 '후원금만 내고 싶고 기부금영수증도 필요 없으니 내 정보를 알 필요가 없다'라고 하시는 분들이 대부분입니다. 
 



 이상 결연후원 방법, 지정기탁서, 지정후원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기부금영수증 발급된다는 것을 참고해주세요.
 
 
 
 
 
 
 

댓글